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로렌츠 변환 활용

이전 "특수상대성 이론 요약" 에서 다룬 로렌츠 변환과 쌍곡함수 등에 대한 보충 심화학습 및 직관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이번 블로그 주제입니다!

여기서는 약간 쉬운 편법(?)으로 로렌츠 변환(Lorentz transformation)을 유도하고,

이를 활용하여 예제 문제를 푸는 것으로써 특수상대성 이론의 이해도와 친밀도를 높이도록 하겠습니다!^^;

목표는 그랬으나 결과적으로 거의 나의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목적이 되 버렸네요. 에고,,,

 

① 로렌츠 변환(Lorentz transformation)을 유도, 쌍곡함수

점P, Q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정지 기준틀 S와 움직이는 기준틀 S'에 있는 관측자가 측정함

시간지연, 길이수축을 포함하면서, 모든 속도에 대해 성립하고 S에서 S'으로 좌표를 변환할 수 있는 식을 구해보자! 

(at S')   x' = γ(x - vt)   (at S)

역변환을 해보면, 좌표계 S'에서 좌표계 S를 보면 -v로 움직인다고 볼 수 있으므로 x = γ(x' + vt') 이다.

두 식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t' = γt + (1-γ2)/(γv) x

 

이때, 광속은 불변이므로 x/t = c , x'/t' = c 이고,

위식을 x' = ct' 에 대입하면, γ(x - vt) = cγt + c(1-γ2)/(γv) x

이를 정리하면, x = (γ2v2 + cγ2v)/(γ2v + cγ2 - c) = ct

더 정리하면, γ = 1/√(1-v2/c2)

t' = γt + (1-γ2)/(γv) x 에 구해진 γ를 대입하면, t' = γ(t - (v/c2)x)

 

기준틀 S'에서의 좌표를 S의 좌표로 역변환하고자 한다면, x = γ(x' + vt')   ,  t = γ(t' + (v/c2)x')

 

이렇게 구한 변환식은 행렬로 표현할 수 있다.

[c△t' ,] = [[γ , -βγ],]@[c△t , ]     ,    [c△t , ] = [[γ , βγ], ]@[c△t' , ]

[△x'   ]    [-βγ,   γ]]     [△x    ]     ,    [△x    ]    [[βγ,   γ]]    [△x'    ]

여기서 (c△t')2 - (△x')2 = (c△t)2 - (△x)2 ,

급속도(rapidity) η , γ = cosh(η) , β = v/c = tanh(η) , βγ = sinh(η)

따라서, 로렌츠 변환행렬(Lorentz boost) Λ = [[cosh(η) , sinh(η)], [sinh(η), cosh(η)]] 으로 표현할 수 있고,

Λ(η1)Λ(η2) = Λ(η1+η2)  (∵ 쌍곡함수의 덧셈정리 이용)

와 같은 쌍곡함수 성질이 있다.

 

상대성이론에서 급속도 η은 단위 쌍곡선을 통해서 쌍곡각도를 정의한다.

쌍곡각도(Hyperbolic Angle)

3차원 공간을 다루는 유클리드 기하학(Euclidean Geometry)에서는 공간 성분의 제곱합인 거리가 보존되고,

s2 = x2 + y2 + z2

반면 민코프스키(Minkowski space) 시공간(spacetime)에서는 각 관성 좌표계마다 빛이 이동한 거리와 물체가 이동한 거리 간의 차가 보존된다. 이는 광속 불변에 이한 것이다.

s2 = (ct)2 - x2 = (ct')2

그렇기에 어떠한 점(사건, event)은 쌍곡함수 위에 있고,  4차원 시공간에서의 두 세계선(world line)이 이루는 각도가 쌍곡각도인 것이다.

 

로렌츠 변환행렬(Lorentz boost)을 이용한 예제 문제 풀기

최신대학물리학I 5판 예제 9.4> 두 우주선 A, B가 서로 마주보고 가까워지게 움직인다. 지상에 있는 관측자가 측정한 우주선 A의 속도는 0.75c , B의 속도은 -0.85c 이다. 우주선 A에 있는 우주인이 측정한 우주선 B의 속도를 구하여라?

<정답> tanh(ηb - ηa) = -0.977c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def lb(eta) : return np.array([[np.cosh(eta), np.sinh(eta)],
                               [np.sinh(eta), np.cosh(eta)]])

v = 0.75
u = -0.85
c = 1

eta_A = np.arctanh(v/c)
eta_B = np.arctanh(u/c)

t, x = 1, 0   
t0, x0 = lb(eta_B)@[t, x] 
tp, xp = lb(-eta_A)@[t0, x0]
# tp, xp = lb(eta_B-eta_A)@[t, x]
print('tanh(β-α) = up/c : ', np.tanh(eta_B-eta_A))

print('[t, x] :', [np.float16(t), np.float16(x)], ', v =', x/t)
print('[t0, x0] :', [np.float16(t0), np.float16(x0)], ', v0 =', x0/t0)
print('[tp, xp] :', [np.float16(tp), np.float16(xp)], ', vp =', xp/tp)

fig, ax = plt.subplots()
plt.quiver(0, 0, x, t, width=0.005, color='r', scale_units='xy', scale=1)
plt.quiver(0, 0, t, x, width=0.005, color='r', scale_units='xy', scale=1)
plt.quiver(0, 0, x0, t0, width=0.005, color='g', scale_units='xy', scale=1)
plt.quiver(0, 0, t0, x0, width=0.005, color='g', scale_units='xy', scale=1)
plt.quiver(0, 0, xp, tp, width=0.005, color='b', scale_units='xy', scale=1)
plt.quiver(0, 0, tp, xp, width=0.005, color='b', scale_units='xy', scale=1)
plt.plot([0, 5], [0, 5], 'k:')
plt.plot([0, -5], [0, 5], 'k:')

plt.axis('square')
plt.xlim(-5, 5)
plt.ylim(-1, 5)

plt.text(xp, tp, r"$x'^0$", fontdict={'size': 16}, ha='center', va='center')
plt.text(tp, xp, r"$x'^1$", fontdict={'size': 16}, ha='center', va='center')
plt.text(x, t, r'$x^0$', fontdict={'size': 16}, ha='center', va='center')
plt.text(t, x, r'$x^1$', fontdict={'size': 16}, ha='center', va='center')
plt.text(5.2, 5.2, 'light world-line' , fontdict={'size': 12}, ha='center', va='center')
plt.text(-5.2, 5.2, 'light world-line' , fontdict={'size': 12}, ha='center', va='center')

plt.grid(True)
plt.show(block=False)

로렌츠 변환행렬을 이용한 상대속도 계산

이를 통해서 검증하거나 유추할 수 있는 것은?!

1. 민코프스키 기하학(Minkowski Geometry)에서는 거리와 시간을 "쌍곡선"을 통해서 결정한다!

s2 = t2 - x2 = t'2 - x'2 = 1 , (t, x) = (t' cosh(η), t' sinh(η))

2. 관성계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빛의 세계선과 가까워지고, 시간축과 공간축이 빛의 세계선을 기준으로 대칭한다.

3. 급속도의 개념은 두 개 이상의 부스트 변환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lb(eta_B-eta_A) = lb(eta_B)*lb(-eta_A)

 

메트릭 텐서(metric tensor)

특수상대론에서는 거리가 "쌍곡선" 형식으로 정의되기에 "로렌츠 불변량(Lorentz invariant)"이 거리가 되고,

ds2 = dt2 - dx2   In Minkowski

각각의 불변량(거리)의 미분이 미소 길이 요소되고, 이를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ds2 = ∑ gij dxi dxj

이때, gij를 "메트릭 텐서"라고 한다. 이는 함수일 수도 있지만, 특수상대론과 유클리드 공간에서는 상수 이다.

  ㅇ 유클리드 공간의 metric tensor

    ds2 = dx2 + dy2  →   gxx=1 , gyy=1, gxy = gyx = 0

    gij = [[1, 0], [0, 1]]

  ㅇ 특수상대론 metric tensor

     ds2 = dt2 - dx2  →   gtt=1 , gxx=-1, gtx = gxt = 0

     gij = [[1, 0], [0, -1]]

그럼 도대체 "메트릭 텐서"는 어떤 의미와 특징이 있나

1. 메트릭 텐서의 의미는, 기저(basis) 벡터의 내적 값이다.

2. 메트릭 텐서를 구하면, 주어진 시공간(좌표계)을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다. 

3. 메트릭 텐서의 성분은 대칭 핼렬이다. 

4. 메트릭 텐서를 사용하여 벡터(반변)를 1-form(공변)으로 변환할 수 있다.   Vi = gij Vj

 

 

<참고한 사이트>

1. [특수상대론] 특수상대론과 기하학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특수상대론] 특수상대론과 기하학

이 글은 충북대학교 상대성 이론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Distance 다른 물리학에서는 보통 3차원...

blog.naver.com

2. 7강) 로렌츠 변환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7강) 로렌츠 변환

"상대론 입문" 강의도 벌써 7번째 시간이로군요. 지난 1강에서 6강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상대론...

blog.naver.com

3. 물리학 상식 : 로렌츠 변환과 민코프스키 공간 (tistory.com)

 

물리학 상식 : 로렌츠 변환과 민코프스키 공간

여기서는 특수상대성 이론의 무대가 되는 시공간 (spacetime)인 민코프스키 공간 (Minkowski space)과 서로 다른 관찰자들을 이어주는 로렌츠 변환 (Lorentz transformation)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이번 포스팅

swstar.tistory.com

4. 로렌츠 변환과 유도 과정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로렌츠 변환과 유도 과정

고전역학의 갈릴레이 변환을 잠시 살펴봅시다. 좌표계 S에 대해 v의 등속도로 운동하는 좌표계 S'이...

blog.naver.com

5. 로렌츠 변환의 의미 (tistory.com)

 

로렌츠 변환의 의미

두 개의 관성 좌표계가 있다고 하자. 하나는 (x,t) 이고 다른 하나는 (x’,t’)이다. 아래 그림에서 (x,y)는 예를 들면 정지한 좌표계이고, (x’,y’)는 x축으로 v라는 속력으로 이동하는 좌표계이다.

existence-of-nothing.tistory.com

 

아이고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다~

생각보다 실용적이지 못한 것 같아 아쉽고, 명확하게 핵심을 붙잡지 못하고 두리뭉실하게 마무리한 느낌이라 찜찜하다.

그러나 어쩌겠는가! 더 이상 가혹행위는 중지하고,,, 상대성이론은 이것으로 종료해야겠다. 하하하